이 글은 한백교회의 하늘뜻나누기(2011.11.20) 원고입니다.
--------------------------------------------
감찰자의 안식일
(나눔과 섬김의 예배공동체 1,460번째 모임 2011년 11월 20일 설교원고)
사람들은 예수를 고발하려고, 예수가 안식일에 그 사람을 고쳐 주시는지를 보려고,
예수를 지켜보고 있었다.
―「마가복음」 3장 2절
서기 132년 바르 코흐바가 이끄는 유대인들의 반란은 3년간이나 지속되었고, 그 치열함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로마군 역시 적지 않은 피해를 받았지요. 하여 로마군은 반란을 진압하면서 잔혹한 보복을 가했습니다. 이때 60만 명이 넘는 이스라엘인들이 학살당했습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또 다시 전쟁을 일으킨 이스라엘인들을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는 토라(오경)의 사용을 금지시켰고, 할례를 금했으며, 안식일 예배를 드릴 수 없게 했습니다. 그와 함께 제국 전역에서 유대인을 포함한 이스라엘계 이민자에 대한 혹독한 탄압이 이어졌고, 숱한 종족 테러가 벌어졌습니다. 사마리아인들도 로마인들은 유대인으로 보였기에 그들도 이러한 인종 탄압의 대상에서 제외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미 반세기 전에 강경 유대주의자들에 의해 회당에서 축출되었지만, 그리스도의 교회들도 로마인들의 눈에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에 일부 그리스도교계 지식인들은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의 교회는 다르다는 것을 강변하였습니다. 그들을 일컬어 교회사는 ‘변증가’라고 부릅니다. 한데 이들 변증가들의 논리 속에는 그리스도인들은 안식일이 아닌 ‘태양의 날’에 예배를 드린다는 주장이 담겨 있습니다. ‘태양의 날’은 ‘일요일’을 뜻하며, 이 날에 예배드리는 것은 제국에 널리 퍼져 있던 ‘태양숭배신앙’의 한 관행이었습니다. 사실 이때까지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안식일에 예배를 드렸습니다. 「요한계시록」 1장 10절, 밧모섬에서 묵시가가 계시를 받은 날은 ‘주의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문서의 저술시기인 서기 90년대에 주의 날은 안식일이었지요. 아마도 135년 이후 안식일 예배가 금지된 이후 많은 ‘그리스도의 공동체들’은 대안으로 일요일에 예배 모임을 가졌던 듯합니다. 특히 로마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말이지요. 하지만 제국 동쪽 지역까지 황제의 금지령이 촘촘하게 작동하지는 않았던 듯합니다. 해서 소아시아 지역에서는 여전히 안식일에 예배모임을 갖는 그리스도의 공동체가 적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그 무렵 그리스도의 공동체들이 일요일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고, 변증가를 중심으로 그것을 신학화하려는 시도들이 본격화된 시기는 135년 이후였습니다. 이때 ‘안식 후 첫날 주께서 부활했다는 점’이 새로 선택한 모임의 날짜에 대한 이유로 해석됩니다. 그리고 서기 324년 니케아 회의 결과를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칙령으로 반포할 때에 일요일 휴일령이 함께 포고됩니다. 황제가 이 날을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칭평을 내린 것은 아니었지만, 이것은 아직까지 안식일을 고수했던 제국 동부의 교회들을 압박했고, 로마교회의 주도권을 강화하는 결과를 야기했습니다. 그후 343년, 이탈리아 반도의 주교들이 모인 사르디카 회의에서 일요일을 ‘주의날’로 규정하고, 그 날의 준수를 의무화했습니다. 물론 여전히 제국 서부에서만 통용되는 규칙이었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363년, 성서의 정전화(canonization)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된 라오디게아 회의에서는 이를 제국 전영역의 교회를 향해 재확인함으로써 일요일(주일)은 그리스도교의 예배일로 정착하게 됩니다. 하여 주의 날로서의 일요일은 서기 135년 이후 2세기 넘는 기간을 거치면서 유대인의 안식일을 대체하는 그리스도교의 대안적 예배일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주의 날로서의 일요일’은 성서에 기초하고 있지 않습니다. 위에서 본 것처럼 그것은 안식일에 예배모임을 가질 수 없었던 2세기의 독특한 역사 때문입니다. 그 대안으로 일요일이 선택된 것은 당시 로마 제국에서 가장 유행하던 태양숭배종교들의 예배일이 일요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제국에게 위험하지 않은 종교임을 과시하기에 안성맞춤의 날이었던 것이지요. 이후 교회들은 일요일 ‘주일 성수’의 전통을 새로운 안식일로 제도화하게 됩니다. 하느님께서 거룩하게 지키라고 명한 십계명의 제4계명(「출애굽기」 12,8~11; 「출애굽기」 5,12~15)은 일요일에 관한 얘기로 전환되었습니다. 문제는 거룩하게 지킨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또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게 무엇을 의미하느냐에 관한 것입니다. 교회가 사회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주일 성수의 내용은 사회마다 혹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주일 성수 제도화의 핵심은 교회 활동에 투여할 일상의 시간을 보전하는 데 있습니다. 교회를 위한 일, 교회를 위한 기부 등이 그 골자입니다. 이렇게 교회를 위해 하는 행위와 기부는 노동이 아니라 안식이라는 논리가 주일 성수 담론의 중심부에 있습니다. 사회가 주일 성수를 하면 그 사회는 영적인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고, 주일 성수를 하는 개인 역시 영적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구원의 논리가 이 담론에 덧붙여집니다. 하여 주일 성수를 하는 사회는 세계를 지배하는 나라가 되어 마땅하고 그렇지 못한 사회는 감시와 통제를 받는 나라가 되어 마땅합니다. 또한 주일 성수를 하는 개인은 교회의 지도자로서 가르침을 주는 이가 되어 마땅하고, 그렇지 못한 개인은 감시와 통제를 받는 자가 되어 마땅합니다. 요컨대 감찰의 논리가 주일 성수 담론에 연결되는 것입니다. 즉 주일 성수는 어느덧 지배의 담론으로 이어집니다. 한편 주일 성수는 일요일을 주일로 지키는 것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최소한의 규정입니다. 모름지기 신자들은 모든 삶을, 모든 시간을 주의 것으로 헌정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사회의 구조가 그것을 방해하고 개인의 욕망의 틀이 방해합니다. 즉 주일 성수는 모든 삶을 다 헌정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세상의 질서에 매여 있는 인간으로서 최소한 이 정도까지는 해야 하는 필수조건을 뜻합니다. 그러니 어느 목사는 주일 성수를 하지 않는 것을 귀신들린 사람의 행위라고까지 극언을 합니다. 그러니 주일 성수는 당연한 것이되, 그 외의 것도 가능한 한 주께 헌정하는 삶을 사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데 문제는 주일 성수가 교회를 위한 시간 보전의 의미인 만큼 주일 성수의 양과 질을 확대하는 것은 그만큼 일상의 시간을 활용할 능력을 갖추어야 가능하다는 데 있습니다. 즉 주일 성수는 계층적으로 유한층의 삶의 조건으로 제도화되는 것입니다. 한데 이러한 사정은 예수가 바리새파 사람들과 안식일 논쟁을 벌이던 것과 유사합니다. 바리새파 사람들이 주도했던 안식일의 제도는 감찰자의 그것이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처럼, 그들은 누가 안식일을 잘 지키고 있는지를 늘 감시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병자는 응급환자는 아니지만, 이 주의 날에 해방을 염원하는 자입니다. 하지만 감찰자들은 그 병자가 그 날에 해방되어서는 안 되는 날로 규정짓고, 예수가 그것을 위반하는지를 감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리새파의 안식일은 그 날에 해방받지 않아는 되는 사람의 날인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그런 갈망을 갖지 않아도 되는 사람들의 날인 것입니다. 하여 주일 성수 개념 속에 예수가 비판적으로 보았던 유대교의 안식일이나 그리스도교 일요일은 감찰자의 논리에 지배를 당하고 말았습니다. 그것은 감찰자의 종교에 다름 아닙니다. 해방을 주기보다는 통제를 하고, 그 통제를 정당화하는 종교가 되었습니다.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그것은 제국의 종교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것은, 앞에서 예수가 그런 안식일과 싸운 것처럼, 성서의 안식일, 주일이 아닙니다. 가령 십계명에서 안식일은 제7일에 주가 쉬었듯이 이 계명을 받는 당신도, 당신의 가족, 종, 가축, 더부살이 하는 이방인도 함께 쉬게 하라는 계명입니다. 지배자들에게 감찰하라고 준 계명이 아니라 지배자로 하여금 그이에게 귀속된 모든 존재를 감찰에서 해방시켜 주라는 계명이 안식일 계명인 것입니다. 물론 그것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최소한의 요건입니다. 제7일에만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날도 그렇게 할 수 있으면 더 확장하라는 것이지요. 현대유대교 전통에서 이런 성서적 안식일의 의미를 재해석한 이들이 있었습니다. 에리히 프롬(Erich Pinchas Fromm)과 아브라함 요슈아 헤셸(Abraham Joshua Heschel) 같은 사상가가 그들입니다. 이들의 공통된 주장은 물질의 질서에 따라 사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에게 탈물질의 질서를 몸에, 사회에 부여하는 날, 그것이 안식일인 것입니다. 한데 여기에서 성서적 안식일, 주일의 의미를 보충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면 그런 안식일은 물질세계의 질서에서 자기 존엄성과 세계의 존엄성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존재의 문제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적 물질세계의 질서에서 쓰레기로, 잉여적 존재로 버려지는 이들에게 물질세계로부터 존재의 여백을 찾는 건 사치입니다. 그이들은 안식일에도 물질주의의 노예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여도 안식일의 감찰자들에게 책망당하지 않는 것, 그것이 또한 안식일의 의미여야 합니다. 예수는 안식일에 밀이삭을 먹어는 궁핍한 이들에게 안식일을 돌려주었던 것입니다. □ (올빼미)
'하늘뜻나누기(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행정부 (0) | 2013.07.23 |
---|---|
제3시대 (0) | 2012.05.20 |
투명유리 - 도심 재개발과 바울의 민중주의 (0) | 2011.08.24 |
그가 유대인이 아닌 이유 (0) | 2011.07.11 |
'풍족한 가난' - 2011년 구제역 ‘재앙 이후’, 예언자 이사야에게 지혜를 묻다 (0) | 201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