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

체험된 소통의 기록들 - ‘긴 1986년’ 안병무의 설교 분석 향린교회 60주년 기념도서 [자유인의 교회 - 향린교회를 말하다]에 실린 글입니다. 취지에 맞지 않는 글을 쓴 탓에 또 한 편을 새로 써야 했습니다. 해서 두 편이 실리게 되었습니다. 벌칙 치고는 너무 과한 벌칙이예요. 너무 많은 시간이 들었고 체력은 바닦가지 소진되어버렸지요. 그래도 나의 선생님인 안병무의 수많은 글을 다시 읽고 감동받았고 새로 깨닫게 된 것도 많았으니 부질없는 것은 아니었지요. 아무튼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쓴 안병무 선생님에 관한 두 편의 중 두번째 글입니다. -------------------------------------------------------------------------------------- 체험된 소통의 기록들‘긴 1986년’ 안병무의 설교 분석 ‘긴 1986년.. 더보기
설교의 신학자 안병무의 교회론 - 작은 교회, 분가선교, 평신도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향린교회 60주년 기념도서 [자유인의 교회 - 향린교회를 말하다]에 실린 글입니다. 취지에 맞지 않는 글을 쓴 탓에 또 한 편을 새로 써야 했습니다. 해서 두 편이 실리게 되었습니다. 벌칙 치고는 너무 과한 벌칙이예요. 너무 많은 시간이 들었고 체력은 바닦가지 소진되어버렸지요. 그래도 나의 선생님인 안병무의 수많은 글을 다시 읽고 감동받았고 새로 깨닫게 된 것도 많았으니 부질없는 것은 아니었지요. 아무튼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쓴 안병무 선생님에 관한 두 편의 중 하나입니다. ------------------------------------------ 설교자 안병무의 교회론작은 교회, 분가선교, 평신도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설교자 안병무 안병무 선생은 오랫동안 대학에서 가르쳤다. 선생의 교수법은 탁월했고, .. 더보기
‘홀로코스트 신학’과 ‘홀로코스트 너머의 신학’ 글을 쓰다 인용하기 위해 찾다 보니 이 글을 여기에 올리지 않았군요. 이 글은 개혁을 위한 종교인 네트워크(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우리신학연구소, 참여불교재가연대) 주최로 지난 2009년 2월 5일에 열린 긴급토론회 에서 발표된 원고입니다. 이 토론회는 그 전해인 2008년 12월 27일부터 팔레스타인을 향한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1천 명 이상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사망한 사건을 문제제기하기 위해 긴급하게 기획된 것입니다. 이 심포의 자료집을 올립니다. ----------------------------------------------------------------------------------------- ‘홀로코스트 신학’과 ‘홀로코스트 너머의 신학’* 19세기 영국의 극우주의였던 ‘브리티시 이스.. 더보기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Korean Protestantism since around 1990 이 글은 Korea Journal 52/3 Autumn 2012의 특집원고로 실렸습니다. 이 글의 한글 원고 제목은 입니다. 특집 주제는 Contemporary Korean Religions in Context 이고 특집원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Jang Sunman_ Contemporary Korean Religions in Context - Chin Hong Chung_ Profiles of Contemporary Korean Religions : The Emergence of Neo-Ethnicity - Yoon Seung Yong_ The Movement to Reform Korean Buddhism and the Limits Thereof - Jin-ho Kim_ The Political E.. 더보기
'뉴-뉴미디어'적 전환기의 개신교, 위기와 기회 이 글은 [여성신학사상 9집. 미디어와 여성신학](2012.1)에 수록된 논문입니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 1부 이영미 - 웹 2.0시대 협업과 공감의 여성주의 담론 김수연 - 사이보그 시대에서 여성신학-하기: 여성의 '주체'문제와 '연대'를 중심으로 이주아- 전자미디어를 통한 여성신학의 유통과 여성 주체의 생성 가능성 김진호 - '뉴-뉴미디어'적 전환기의 개신교, 위기와 기회 전철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진화의 신학적 함의 제 2부 이인경- 대중매체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이숙진- 대중적 신앙서적과 성별화된 자기계발담론 백소영- 여성신학적 시각에서 .. 더보기
자유를 향한 제도적 실천의 역사 - IMF 시대에 읽는 성서의 정치경제적 실천 이 글은 [현대사상] 7(1998 겨울)에 실린 글이고, 나의 책 [반신학의 미소]에 재수록된 것입니다. 자유를 향한 제도적 실천의 역사IMF 시대에 읽는 성서의 정치경제적 실천 1 성서 텍스트를 읽을 때, 우리는 언제나 두 발화자의 목소리를 듣는다. 하나는 텍스트 내면의 발화자요, 다른 하나는 외면의 발화자다. 텍스트의 내면에는 예수님, 예언자, 혹은 설화자 등의 목소리가 울려퍼진다. 반면 외면에서는 ‘지금 여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울려 퍼진 소리가 있다. 물론 실제의 독서에서 이 두 소리는 동등하기보다는 한 편이 다른 편보다 더욱 강렬하게 울려 퍼지기 마련이다. 전자의 소리가 의미 구성에 더욱 강하게 작용하는 경우를 역사학적 독서라고 한다면, 후자가 보다 강렬하게 소리를 발하는 경우를 실존적 독서.. 더보기
급변하는 시대의 위기와 비판담론으로서의 민중신학 이 글의 출처는 기억나지 않고,다만 1999년 경에 쓴 글인 듯 ---------------------------------------- 급변하는 시대의 위기와 비판담론으로서의 민중신학 1 강연 요청을 받은 사람은 가장 먼저 주제에 대해 고민하기 마련이다. 그 속에는 어떤 문제의식이 숨어 있을까? 종종 요청자들에게 의도를 묻기는 하지만, 그 대화에서 속 시원하게 질문 취지를 읽어내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한참을 고민한 끝에 주제 속에 담긴 암호의 감을 잡는다. 물론 타고난 눈썰미가 둔한 자는 이런 고민조차도 부질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무튼 오늘도, 비록 잘못 짚은 것일지는 몰라도, 나름대로 요청자들의 문제의식을 읽는 데서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변화하는 시대와 민중신학’. 여기에는 우리 시대.. 더보기
예수운동의 배경사를 보는 한 시각 - 민중 메시아론의 관점에서 본 민중형성론적 접근 이 글은 [민중신학] 창간호 (한국민중신학회 펴냄 1995)에 게재된 것입니다. 예수운동의 배경사를 보는 한 시각민중메시아론의 관점에서 본 민중형성론적 접근(방법론을 중심으로) 1. ‘역사의 예수’ 문제: ‘예수’에서 ‘예수사건’으로 민중신학의 ‘역사의 예수’를 묻는 해석학적 시좌는 ‘(민중)사건’이다. 이것은 예수라는 개체적 존재에만 탐구의 초점을 두어온 지난 두 차례에 걸친 서구신학계의 문제설정으로부터 단절하여 새로운 시좌에서 예수운동을 보게 하는 민중신학의 ‘인식론상의 혁명적 전환’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민중신학의 ‘사건’ 개념은 1970년대까지 서구신학의 ‘역사의 예수’ 문제설정이 안고 있는 ‘주객 이원론적 도식’, 즉 예수는 ‘주’이며 그 주변의 대중(및 모든 인간)은 ‘객’이라는 전제 아래.. 더보기
한국 근대성의 위기와 교회 그리고 탈신학적 전망 이 글은 한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주최로 열린 창립기념심포지엄(2001 11 03)에서 발표한 것을 보완하고 주를 첨가하여 동 연구소가 발행한 [탈근대의 담론과 권력비판] (인문학총서 1, 2002)에 게재된 것입니다. -------------------------------------------------------------------------- 한국 근대성의 위기와 교회, 그리고 탈신학적 전망 Ⅰ 언제부터인지 우리 시대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탈근대’라는 용어가 익숙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탈근대의 징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그리 많지 않았으며, 때로는 서구의 탈근대론의 번역에 치중한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아직 우리는 탈근대의 개념에 대한 최소한의 합의에도 도달하지 못한 것으.. 더보기
민중신학 민중론의 성서적 기초 - 안병무의 ‘오클로스론(論)’을 중심으로 이 글은 [예수 민중 민족. 안병무 박사 고희기념논문집](1992)에 게재된 것입니다.---------------------------------------------------------- 민중신학 민중론의 성서적 기초안병무의 ‘오클로스論’을 중심으로 1. 머리말 : 민중신학 민중론의 현 단계와 그 과제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 민중상황에 대한 신학적 성찰에서 태동하였다. 이 신학적 성찰은 민중 당파적 가치 지향을 토대로 하는 ‘실천적’ 관심을 내포한다. 이런 점에서 민중신학이 1980년대적 인식지평 위에서 이데올로기적 지향을 명료화함으로써 ‘변혁적 신학’으로 귀결하는 것은 자연스런 발전경로라 할 수 있다.변혁적 신학은, 1970년대 민중신학의 유산이라 할 수 있는 ‘민중 당파성’을 견지하면서도, .. 더보기